주문형 웨비나

쿠버네티스 네트워킹 101

쿠버네티스 네트워킹 101

이 웨비나에서는 Kubernetes가 Kubernetes 클러스터 외부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Kubernetes가 포드(컨테이너) 간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데 사용되는 고유한 컨테이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CNI)를 갖는 방식을 이해하는 네트워킹 관점에서 이를 접근해 보겠습니다. 다음으로, Kubernetes 서비스 유형을 살펴보고 "ClusterIP", "NodePort", "HostPort" 및 "LoadBalancer" 선택이 서비스의 가용성과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Ingress" 리소스 유형과 이것이 HTTP 및 HTTPS 트래픽의 L7(콘텐츠 라우팅)을 제공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Kubernetes가 작동하는 내부 구조를 살펴본 후 NodePort나 Flannel 또는 Calico(VXLAN/BGP)와 같은 CNI를 통해 BIG-IP가 Kubernetes 클러스터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F5 Container Ingress Services를 사용하여 BIG-IP 인스턴스 구성을 자동화함으로써 용이해집니다.

마지막으로 NGINX Ingress Controller가 HTTP 및 HTTPS 트래픽의 L7 라우팅을 위한 Kubernetes Ingress 리소스 유형을 지원하는 측면에서 Kubernetes 프로젝트 NGINX Ingress Controller(네, 이름은 같지만 작성자는 다릅니다)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

이 웨비나에서는 Kubernetes, F5 BIG-IP, NGINX의 네트워킹 및 Kubernetes 리소스 지원과 관련된 관련 측면을 시연합니다.

이 웨비나에서는 다음 내용을 다룹니다.

  • Kubernetes 네트워킹 리소스 유형(서비스/Ingress)
  • Kubernetes 클러스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BIG-IP
  • NGINX Ingress Controller는 Kubernetes Ingress 리소스를 지원합니다.

게스트 스피커

에릭 첸


에릭 첸

클라우드 아키텍트
F5 네트워크

톰 가물


톰 가물

솔루션 아키텍트
F5 네트워크

등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 주문형 웨비나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웨비나 접속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