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5 용어집

장애 조치

장애 조치(Failover)는 중복된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시스템의 한 구성 요소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오프라인이 되면 다른 구성 요소가 자동으로 처리 작업을 인계하는 메커니즘 또는 기능을 말합니다. 장애 조치 기능의 주요 목적은 고가용성(HA)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시스템의 중복성은 일반적으로 가용성 개선에 주로 초점을 맞춘 HA 클러스터나 작업 부하 분산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 부하 분산(LB) 클러스터를 통해 구현됩니다. 장애 조치(Failover)는 특히 HA 클러스터와 관련된 기능입니다.

장애 조치 기능은 일관된 운영과 높은 가용성이 필수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은 시스템에서 특히 선호됩니다. 또한, 내부 네트워크 보안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방화벽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태 저장 장애 조치"라고 알려진 장애 조치 기능을 갖춘 HA 클러스터 설계를 통합합니다. 상태 저장 장애 조치는 구체적으로 활성 방화벽의 현재 세션 정보를 대기 방화벽으로 직접 전송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활성 방화벽에 문제가 발생하면 원활하게 처리 작업을 대기 장치에 넘겨 중단 없는 보안을 보장합니다. 상태 저장 장애 조치를 구현하려면 두 개의 중복 방화벽을 장애 조치 케이블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해야 합니다.

F5가 제공하는 F5 BIG-IP 플랫폼도 이러한 상태 저장 장애 조치 기능을 지원합니다. 장애 조치 케이블은 전용 직렬 케이블이거나 표준 LAN 케이블일 수 있습니다. 직렬 케이블을 사용하여 장애 조치를 수행하는 경우 해당 구성을 "직렬 장애 조치"라고 하며, LAN 케이블을 통해 장애 조치를 수행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애 조치"라고 합니다.